세바스티아노 바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바스티아노 바조는 이탈리아 출신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다. 그는 1935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교황 대사관에서 외교부로 활동했으며, 칠레, 캐나다, 브라질 주재 교황 대사를 역임했다. 1969년 추기경에 서임되었고, 1973년부터 1984년까지 주교성 장관으로 재직하며 주교 후보자 명단을 준비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교황청 재무원과 추기경단 부단장을 지냈으며, 199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궁무처장 - 라파엘레 리아리오
교황 식스토 4세의 종손인 라파엘레 리아리오는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족벌주의 정책 수혜자로서 파치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교황청 내 외교관 및 고문으로 활동하며 미켈란젤로를 후원하는 등 로마 르네상스 전성기 도래에 기여했고 그의 궁전은 칸첼레리아 궁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교황 궁무처장 - 교황 레오 13세
교황 레오 13세는 1878년 선출된 제256대 교황으로, 교회와 현대 세계의 간극을 좁히고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 장려, 노동자 권익 옹호 및 가톨릭 사회 교리 확립에 기여했으며, 회칙 《노동 헌장》을 통해 자본주의 폐해를 경고하고 사회 문제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정립했다. - 비첸차도 출신 - 안토니오 피가페타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에 참여하여 항해 기록을 남긴 16세기 이탈리아의 탐험가이자 학자이다. - 비첸차도 출신 - 페데리코 마르케티
페데리코 마르케티는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동하며 세리에 A 클럽, 몰타 리그,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고, 라치오 소속으로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했다.
세바스티아노 바조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바티칸 시국 교황청 위원회 의장 |
임명 | 1984년 4월 8일 |
임기 종료 | 1990년 10월 31일 |
이전 | 아고스티노 카사롤리 |
이후 | 로살리오 호세 카스티요 라라 |
기타 직책 | 벨레트리-세니의 추기경 주교 (1974–93) 몰타 기사단의 후원자 (1984–93) 사도좌 재무원장 (1985–93) 추기경단 부단장 (1986–93) |
서품 | 1935년 12월 21일 |
서품자 | 페르디난도 루돌프 |
성별 | 1953년 7월 26일 |
성별자 | 아데오다토 조반니 피아차 |
추기경 임명 | 1969년 4월 28일 |
추기경 임명자 | 교황 바오로 6세 |
계급 | 추기경 부제 (1969–73) 추기경 사제 (1973–74) 추기경 주교 (1974–93) |
출생 이름 | 세바스티아노 바조 |
출생일 | 1913년 5월 16일 |
출생지 | 로사, 비첸차,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1993년 3월 21일 |
사망 장소 |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교 종합병원, 로마, 이탈리아 |
이전 직책 | 에페수스의 명의 대주교 (1953–69) 칠레 교황청 대사 (1953–59) 캐나다 교황청 대표 (1959–64) 브라질 교황청 대사 (1964–69) 산티 안젤리 쿠스토디 아 치타 자르디노의 추기경 부제 (1969–73) 칼리아리 대주교 (1969–73) 주교 성성 장관 (1973–84) 라틴 아메리카 교황청 위원회 의장 (1973–84) 산 세바스티아노 알레 카타콤베의 추기경 사제 (1973–74) |
모교 |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
모토 | Operando custodire (행동하며 지키다) |
문장 | Coat of Arms of Sebastiano Baggio.svg |
2. 초기 생애 및 사제 서품
로사 출생인 세바스티아노 바조는 1935년 12월 21일, 22세의 나이로 비첸차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1] 그는 대학원 과정을 밟았고, 1938년 오스트리아 주재 교황 대사관에서 부임하며 성좌 외교부에 합류했다.[1]
1953년, 바조는 주교로 서임되었고 대주교 지위를 받았다. 1953년부터 1959년까지 칠레 주재 교황 대사, 1959년부터 1964년까지 캐나다 주재 교황 사절, 1964년부터 1969년까지 브라질 주재 교황 대사를 역임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1969년 4월 30일 그를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산티 안젤리 쿠스토디 아 치타 자르디노를 명의 본당으로 배정했다. 1969년 6월 23일, 교황 바오로 6세는 그를 사르데냐의 칼리아리 대주교로 임명했다.
3. 주교 및 추기경 서임
바조는 1978년 두 차례의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1993년 로마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할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청 재무원이자 추기경단의 부단장이었다. 그는 57년간 사제, 39년간 주교, 23년간 추기경으로 봉직했다. "상냥하고, 웃는 얼굴에, 땅딸막하고 다소 세속적인" 인물로 묘사된 바조는 고향인 로사에 깊은 애착을 가졌으며, 자신의 유해를 가족 묘소가 아닌 지역 묘지에 묻도록 유언했다.
3. 1. 주교성 장관 시절의 활동
1973년 2월 26일 바조는 주교성 장관으로 임명되었다.[2]
1973년부터 1984년까지 그가 로마에서 역임한 가장 영향력 있는 직책 중 하나는 주교성 장관이었으며, 이 직책을 통해 그는 주교 후보자 명단을 준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런던 인디펜던트지의 한 부고 기사에서는 "바조는 항상 자신이 주교를 임명하는 사람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 그는 제안하고 교황만이 결정한다고 말했다 - 실제로 상당한 후원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가능한 후보자의 자료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술이나 여성에 대한 그들의 약점을 알고 있었다"라고 언급했다.[3] 그는 바조와 교회 내 남미의 방향에 대해 많은 우려를 공유했던 알폰소 로페스 트루히요 추기경의 주교 경력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았다.[4]
존경받는 가톨릭 언론인 피터 헤블스웨이트가 작성한 동일한 부고 기사에서는 바조와 오푸스 데이의 관계, 그리고 중앙 아메리카 정책의 미래를 놓고 예수회 총장 페드로 아루페 신부와의 논쟁에 주목했다. "바조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중앙 아메리카에 대한 '통합 정책'을 원했지만, 예수회와 다른 종교 단체들은 엘살바도르의 내전, 파나마의 독재, 니카라과의 혁명 이후 정권, 과테말라의 재탄생한 박해적 장군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할 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5]
3. 2. [[오푸스 데이]]와의 관계 및 [[예수회]]와의 갈등
가톨릭 언론인 피터 헤블스웨이트가 작성한 부고 기사에서는 바조와 오푸스 데이의 관계, 그리고 중앙 아메리카 정책의 미래를 두고 예수회 총장 페드로 아루페 신부와 논쟁을 벌인 점을 주목했다. "바조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중앙 아메리카에 대한 '통합 정책'을 원했지만, 예수회와 다른 종교 단체들은 엘살바도르의 내전, 파나마의 독재, 니카라과의 혁명 이후 정권, 과테말라의 재탄생한 박해적 장군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할 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5]
4. 교황청 재무원 및 추기경단 부단장
세바스티아노 바조(Sebastianus Baggiola) 추기경은 1978년 두 차례의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1993년 로마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을 때,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청 재무원이자 추기경단의 부단장이었다.[2] 57년간 사제, 39년간 주교, 23년간 추기경으로 봉직했다. "상냥하고, 웃는 얼굴에, 땅딸막하고 다소 세속적인" 인물로 묘사된 바조는 고향인 로사에 깊은 애착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유해를 가족 묘소가 아닌 지역 묘지에 묻도록 유언했다.
5. 사망
Sebastianus Baggiola 추기경은 1993년 로마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당시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청 재무원이자 추기경단의 부단장이었다.[2] 그는 57년간 사제, 39년간 주교, 23년간 추기경으로 봉직했다.[3] "상냥하고, 웃는 얼굴에, 땅딸막하고 다소 세속적인" 인물로 묘사된 바조는 고향인 로사에 깊은 애착을 가졌으며, 자신의 유해를 가족 묘소가 아닌 지역 묘지에 묻도록 유언했다.[4][5]
참조
[1]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 with world notables, v. XI (1993–1996)
https://archive.org/[...]
Marquis Who's Who
[2]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1973
[3]
웹사이트
Obituary: Cardinal Sebastiano Baggio
https://www.independ[...]
1993-03-23
[4]
웹사이트
Obituary: Cardinal Alfonso López Trujillo
https://www.theguard[...]
2008-04-21
[5]
웹사이트
Obituary: Cardinal Sebastiano Baggio
https://www.independ[...]
1993-03-23
[6]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 with world notables, v. XI (1993–1996)
Marquis Who's W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